top of page

l    연구    l   KERI 경제동향과 전망

l    연구    l    보고서 

KERI 경제동향과 전망

국내외 경제동향에 대한 심층분석과 전망을 통한 정책대안제시 보고서입니다.

한국경제연구원_WHITE_edited.png

KERI 경제동향과 전망

KERI 경제동향과 전망-2021년 2분기 [Vol. 31-2]

21. 6. 30.

7

이승석


본 보고서에서는 수출(재화+서비스) 증가세 확대가 올해 국내 성장흐름을 주도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2.4%의 역(逆)성장을 기록했던 수출은 주요국 정부의 대규모 경기부양책 및 적극적인 백신보급의 영향으로 교역량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서며 올해는 성장률이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더구나 반도체 슈퍼사이클 뿐만 아니라 국제유가 회복 등 교역여건이 개선되고, 바이오헬스 같은 비주력 품목도 수출증가를 기록해 성장률이 9.6%까지 확대될 것이란 분석이다. 민간소비는 가계 소득기반 약화, 그리고 급격하게 늘어난 가계부채에 대한 상환부담이 원만한 소비회복을 제약하는 가운데 코로나19 4차 대유행의 장기화, 백신보급 지연 등 하방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2.3%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설비투자도 수출호조의 영향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분석됐다. 반도체 등 IT부문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가 지속되는 가운데, 친환경 분야에 대한 투자 역시 상승흐름이 이어지면서 설비투자는 9.0% 수준의 높은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건설투자는 대규모 주택공급 대책의 영향으로 지난해의 부진에서 벗어나 성장률 2.1%로 플러스(+) 전환될 것으로 분석됐으나, 여전히 산재해 있는 건축규제 및 공공재건축에 대한 반발기조로 실질적인 건설투자 회복은 하반기에 이르러서야 제한적인 수준에서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0.5%에서 올해 1.8%로 큰 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농축수산물 가격의 높은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과 국제유가의 회복, 그리고 집세 등 거주비 상승이 물가에 대한 상방압력으로 작용하면서 물가상승은 물가안정목표(2%)에 근접한 1.8% 수준에 이를 것이란 분석이다.


한편 원⋅달러환율의 경우, 美연준의 양적완화 기조가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식되지 않는 테이퍼링 우려, 美인플레이션 가능성 확대 및 예상치를 웃도는 美경기회복세 등 달러화에 대한 강세요인이 지속되는 가운데, 위안화절상·국내경기회복 등 하방요인이 달러화 강세를 제한하는 요인으로 동시에 작용하면서 1,130원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현재 진행중인 코로나19 재확산에 대한 원활한 대처여부 및 백신보급 속도가 2021년 경제성장 경로에서 가장 중요한 리스크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현재의 코로나19 재확산 추세가 상반기 내에 안정화되고, 적극적인 백신보급 노력으로 올해 안에 집단면역이 형성된다면 현재의 양호한 성장흐름을 지속할 수 있지만, 상황이 악화되어 확진세가 증폭하고 백신보급마저 지연된다면 성장률은 3% 초반수준에 머물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네임카드(임동원)_500x160.pn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