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l    연구    l   KERI 경제동향과 전망

l    연구    l    보고서 

KERI 경제동향과 전망

국내외 경제동향에 대한 심층분석과 전망을 통한 정책대안제시 보고서입니다.

한국경제연구원_WHITE_edited.png

KERI 경제동향과 전망

KERI 경제동향과 전망-2024년 2분기 [Vol. 34-2]

24. 6. 14.

407

한국경제연구원

2024년 우리경제는 수출의 성장세 강화에 힘입어 기존 예상치보다 높은 2.4% 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대내외적 불확실성 확대와 美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후퇴에도 불구하고, 세계경제 회복에 따라 수출이 반도체를 중심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1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상회한 것이 전망치 상향조정 의 주요 배경이다.


내수부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소비는 1.9% 성장하며, 미흡한 실적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장기간 진행되어 온 소득기반 부실화와 폭증한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부담 그리고 그에 따른 저조한 소비심리가 소비회복을 제약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하반기를 경과하며 물가의 점진적 안정에 따른 실질소득 증가와 수출실적 개선에 따른 파급효과에 기인해 회복세는 확대될 전망이다.

설비투자는 글로벌 경기회복 지연으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금리인상으로 인한 자본조달 부담까지 가중되며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나, 하반기를 경과 하며 인공지능(AI)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IT 경기호조에 따라 점차 회복세를 보이며 3.1%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한편, 부진을 지속해 온 건설투자는 정부의 SOC 예산확대에 따른 토목투자 증가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건설수주 및 인허가 급감과 부동산PF 부실화 등 악재가 겹치며 부진흐름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유가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의 높은 변동성이 하반기 까지 지속되고 기후변화로 인한 농축수산물 가격의 상승세가 지속됨에 따라 2.7% 수준을 보이며 완만한 하향흐름을 보일 전망이다.


한편 글로벌 IT 업황 불황 및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 부재,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에 따른 원자재 수급불안 등으로 침체적 흐름을 보여왔던 수출은 주요국의 경기회복 및 IT 시장 회복 확대에 따라 증가세가 점차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인 공지능(AI) 관련 분야의 수요확대로 인한 반도체 수출증가에 힘입어 수출증가율은 5.0%까지 상승하며 경제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의 흑자폭 확대의 영향으로 590억 달러 수준을 회복할 전망이다.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네임카드(임동원)_500x160.pn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