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martin-martz-RhF4D_sw6gk-unsplash.jpg

l    소통       

소통

KERI 컬럼 / Global Focus / 보도자료 / 청년의 소리 / 알기 쉬운 경제상식 & 이슈

한국경제연구원_WHITE_edited.png

한일관계 정경분리 원칙 지키고 미래지향적으로 개선해야


2012년을 변곡점으로 하여 한일관계는 위안부 문제, 영토문제, 아베총리 역사인식 문제와 같은 기존 현안이 한국인 징용자 배상청구, 일본 산업유산 세계문화유산 등록으로 이어지면서 양국 간 국민감정이 악화되고 현재까지 한일 정상회담이 지연되고 있다. 광복이후 70년 동안 한일 양국 간 무역투자 패턴은 역동적으로 변화해왔다. 한일관계에 따라 민감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한국 제조업 및 관광업의 특정 부문에서 대일 무역투자 교류 패턴은 어떻게 발전해 왔을 까? 한일 간 무역투자 교류의 활성화를 어떻게 도모해야 할까?

한일관계 우호적이었던 기간 동안 한일 양국의 무역투자 활성화

1965년 한일협정 체결 이후 한국의 풍부한 노동력과 일본의 우수한 기술력을 결합하여 우리나라는 해외시장에 경쟁력 있는 공산품을 수출하였다. 한국경제가 보유한 잠재적인 국제경쟁력은 일본과의 교역이 발달하면서 실현되었다. 우리나라는 한일협정을 계기로 세계의 무역체제에 참여하였다. 1967년에는 세계무역기구(GATT)에 가입하였다. 아울러 1962년에서 1966년 사이 2억 9천만 달러에 해당하던 해외차관도입은 한국경제에 대한 신뢰가 쌓이면서 67년에서 71년 사이 21억 6천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1983년 일본 나카소네 수상 방한에 대한 답방형식으로 1984년 9월 우리나라 대통령의 첫 국빈 방일이 이뤄졌다. 당시 일왕은 과거사에 대한 반성을 언급하였다. 1984년에는 일본에서 한국으로 제조업 부문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액이 전년대비 26.6% 증가하였다. 특히 기계·장비제조업은 전년 대비 340% 증가하였고, 제조업 부문 일본의 대한국 외국인 직접투자 증감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1.3% 해당하였다. 전기·전자제조업에서는 123%로 증가하였고, 제조업 부문 일본의 대한국 외국인 직접투자 증감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3.6%로 가장 컸다. 요컨대 전기·전자 제조업과 기계·장비 제조업 부문에서 일본기업의 대 한국 직접투자는 1984년에 크게 증가하였다.

1993년 고노담화 당시에는 한일 산업협력이 발전하였다. 주요 추진체계는 경제4단체, 관련 협회 등이었으며 아울러 민간 관련단체 및 지자체(산업부 등 중앙정부)의 협력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대일 기술협력, 부품소재개발 능력 향상을 위한 기능인력 연수, 대일 수출촉진단 파견사업이 이뤄졌다. 한·일 지역 간 경제교류 회의(한·큐슈(1993~), 한·호쿠리쿠(1995~)) 등을 개최하면서 양국 지방 간 협력이 활성화되었다.

2002년 한일월드컵 공동개최는 생산, 소득, 부가가치, 재정수입 등 다양한 부문에서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져왔다. 관광부문별로는 숙박부문, 문화오락서비스 부문, 식음료부문 순으로 가장 많은 경제적 파급효과를 발생시켰다. 순수 한일 월드컵 관련 외래관광객 지출에 따른 우리나라의 고용창출은 약 2만 6천여 명으로 나타났다.

2003년에는 겨울연가가 일본에 방영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일 양국 간 친선 및 문화교류가 확대되면서 한국을 방문한 일본인 관광객 수는 2004년 전년대비 약 34만 명(18.5%) 증가하였다.

한일관계 경색과 한일 무역투자 교류 감소

2012년 대통령 독도방문과 일왕 사죄 발언, 그리고 2014년 아베정부의 고노담화 검증, 역사수정주의 및 집단자위권 행사 문제로 한일관계의 경색국면이 지속되고 있다.

2012년~2014년 사이 한일 양국 간 무역투자 패턴의 특징은 대일 무역 감소, 부품소재산업 대일 경쟁열위 고착, 중소기업의 대일본 기술도입 의존도 심화, 외국인투자유입 감소, 일본인 국내 관광객 유입 저하 등으로 나타났다. 감정적인 측면이 소비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관광서비스업의 경우 한일관계 변화에 따라 일본이 한국 관광방문을 유보할 경우 관광객 방문자 수는 최소 43만 명 정도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투자를 유보할 수 있거나 해외진출 대안(상해, 싱가포르 등)이 존재하는 외국인 직접투자는 만약 일본이 투자유보 또는 투자처를 전환할 경우 최소 5.7억 달러 규모가 감소할 수도 있다. 한일관계에 따른 무역투자 교류 변화의 영향은 단기간에는 통신기기, 부품소재 산업, 관광서비스업 등 일부산업 및 중소기업에 국한될 수 있으나 한일 경제협력관계의 상호의존성을 감안할 경우 무역투자전환의 부정적 영향은 장기적으로 더욱 확대될 수도 있다.


정경분리원칙을 지키고 한일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개선해야

최근 ICT산업 및 부품소재 산업 등에서 중국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거대 중국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과 일본은 경제협력관계를 전향적으로 개선하여 한일 양국의 경제적 이익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한일 FTA 협상을 재개하고, 향후 동북아 메가 FTA 등 양국 간 공조를 강화하여 한일 양국을 중심으로 동북아 무역투자 활성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한국과 일본 기업의 상호협력을 통해 제 3국 시장에 공동 진출하는 비즈니스 모델도 적극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일본기업의 한국기업에 대한 투자를 유도하면서 동시에 한국 중소기업의 기술협력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한일관계에서는 정경분리원칙을 지켜야 한다. 정치인, 메스컴, 일반 일본인과 같은 세 부류의 일본인 중에서 일반 일본인을 분리하여 그들을 적극적인 민간 경제외교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이를 위한 전략으로 한일 양국 간 민간부문의 경제적 상호의존성을 인정하고 무역투자 진흥, 제조업부흥, 동북아 국제교역활성화 측면에서 한일 양국 간 상호협력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최남석(전북대학교 무역학과 교수 / namsuk.choi@jbnu.ac.kr)

* 외부필자 기고는 KERI 칼럼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KERI 칼럼_20151023
.pdf
PDF 다운로드 • 234KB


46FL, FKI Tower, 24, Yeoui-daero, Yeongdeungpo-gu, Seoul, 07320, Korea

TEL: 82-2-3771-0001

​연구원 소개

연구

소통

미디어와 네트워킹

Copyrightⓒ 2023 KERI.ORG.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