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martin-martz-RhF4D_sw6gk-unsplash.jpg

l    소통       

소통

KERI 컬럼 / Global Focus / 보도자료 / 청년의 소리 / 알기 쉬운 경제상식 & 이슈

한국경제연구원_WHITE_edited.png

잠재성장률 1%p 높이기 위한 교육도우미제도


잠재성장률은 인적·물적 자원 및 기술이 주어진 상태에서 한 경제가 장기적으로 유지 가능한 경제성장률을 의미한다. 따라서 잠재성장률은 한 경제의 미래를 단적으로 나타내는 좋은 지표 중 하나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은 대략 3% 후반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인구구조의 변화 때문에 노동력이 감소하면서 점차 하락할 전망이다. 따라서 우리 경제는 장차 지금보다 훨씬 느린 속도로 성장할 것이 분명하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노동공급의 감소는 잠재성장률 저해


자본 및 기술이 잠재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노동력의 규모가 미치는 영향 또한 중요하다. 일본의 예를 살펴보자. 아래 <그림 1>을 보면 주5일 근무제를 도입한 1987년 이후 근로자당 근로시간이 감소하기 시작했고, 그 이후 고령화 및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로 인해 근로자 수도 1993년 이후 거의 정체되어 있다. 그 결과 근로자 수 및 근로자당 근로시간의 곱으로 정의되는 총 노동투입은 1990년대 초반부터 10년 이상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물론 일본 경제의 장기불황이 금융정책의 실패 또는 일본 금융산업의 취약성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일본 노동공급의 구조적 감소 역시 불황의 지속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들1)을 감안하면 일본의 ‘잃어버린 10년’과 총 노동투입 감소가 유사한 시기에 시작되었다는 점은 우연의 일치로 보기만은 어렵다.

<그림 1> 일본의 노동투입과 경제성장률


우리나라의 경우는 어떠한가? 통계청에 의하면 우리나라 인구는 2012년 5,000만 명을 넘어 2030년 5,216만 명까지 증가할 전망이지만 그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2050년에는 4,812만 명에 머물러 2005년 수준으로 되돌아갈 전망이다. 더욱 우려되는 점은 고령화로 인해 경제활동의 주축이 되는 20~64세 인구가 급격히 줄어든다는 점이다. <그림 2>는 2050년까지 우리나라의 인구구조 변화를 나타낸다. 2011년 기준 20~64세 인구는 약 3,288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66.1%를 차지한다. 그러나 2019년 3,418만 명을 정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하여 2030년에는 3,066만 명으로 줄어들고, 2050년에는 2,348만 명을 기록하여 전체 인구의 48.8%에 불과할 전망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경우 잠재성장률 역시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현재 약 3.60% 수준에서 2030년 2.54%, 2050년에는 1.48%에 불과할 전망이다(한국경제연구원 추정 참조).

<그림 2> 인구구조의 변화와 잠재성장률의 하락

하락하는 잠재성장률이 보다 높은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규모의 노동력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일 할 수 있는 인구가 급격히 줄어드는 우리 경제가 신경을 써야하는 부분은 노동력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저출산 현상을 단기간에 반전시키기 어렵다면 현재 인구 중 보다 많은 사람들이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경제적 여건을 정비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국제적 평균에 비해 상당히 낮은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을 높이는 과제가 우리의 안정적 미래를 위해 필수적이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근로시간 유연화가 필수적


2010년 기준 우리나라 15~64세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4.5%로 OECD 평균 61.8%보다 약 7.3%p 낮다. 달리 표현하면 OECD 평균에 비해 우리나라 여성 약 128만 명이 경제활동을 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 정도 차이는 과연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한국경제연구원의 추정에 의하면 예상 잠재 GDP를 1%씩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약 53만 명의 추가적 고용이 필요하다. 즉, 현재 취업자에 추가로 53만 명이 더 일을 하게 된다면 2012년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은 3.60%가 아닌 4.60%가 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을 높이는 과제는 우리의 안정적 미래를 위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여성 53만 명의 추가적 고용은 상당히 어려운 과제일수도 있다. 그러나 현재의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을 조금만 더 올린다면 그리 어려운 과제도 아니다. 예를 들어, 2050년까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을 2010년 현재 남성 수준으로 올린다면 아래 <그림 3>처럼 무려 412만 명의 추가적 노동력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제고를 통해 50여만 명이 추가적으로 취업하고 잠재성장률을 1%p 높이는 것은 그리 어려운 목표는 아니다.


<그림 3> 여성 경제활동 증가에 의한 노동력 확대

현재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남성이 주로 경제적 활동을 하고 여성은 가사 및 육아를 담당해야 한다는 유교적 관습도 한 가지 원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근로시간의 경직성 때문에 여성이 일과 가정의 균형을 맞추기 어려운 현실이 큰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아래 <그림 4>에서 보는 것처럼 2010년 기준 우리나라 여성 근로자의 72%가 주당 40시간 이상 일을 하고 있다. 노르웨이나 덴마크의 10% 미만과는 상당한 차이다. 이러한 통계치가 의미하는 것은 우리나라 여성은 장시간 근로를 감당하기 어려울 경우 대부분 경제활동을 포기해야만 한다는 점이다.

<그림 4> 여성의 주당 근로시간 비교 (2010년)

여성 근로자가 일과 가정을 균형을 이루면서 경제활동을 유지해 나가기 위해서는 근로시간의 유연화가 필수적이다. 개인적 필요에 의해 출퇴근 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도 필요하고, 일정 기간 추가근무를 했을 경우 누적된 추가근무만큼 근로시간을 줄여주는 ‘근로시간저축제’도 필요하다. 그러나 필자는 무엇보다도 자녀 교육으로 인한 시간적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자녀의 교육을 상당히 중시하는 풍토에서, 학부모의 역할이 지나치게 확대될 경우 시간적 제약을 받는 많은 수의 여성들이 경제활동을 포기하고 자녀교육에 집중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자녀의 교육 및 안전을 담당하는 ‘교육 도우미’제도 확대 기대


이런 관점에서 필자는 가끔 ‘교육도우미’라는 제도를 생각해본다. 교육도우미란 초·중·고 자녀의 방과 후 일정을 관리하며 자녀의 교육 및 안전을 담당하는 일종의 매니저이다. 자녀의 교육에 대한 중요한 결정은 부모가 내리지만 교육도우미는 부모의 물리적 시간을 대행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하교 및 방과후 활동에 동행하면서 안전을 책임지고 자녀의 현 상황을 수시로 부모에게 보고할 수도 있다. 현재 학교에서 행해지는 방과후 교실은 부모들의 시간적 제약을 완화해주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방과후 교실의 역할만을 믿는 학부모가 그리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여전히 학원과 같은 학교 외 지역에서 학생들의 활동이 많다. 특히 학교 외 지역에서 행해지는 방과후 활동은 부모에게 물리적·시간적 제약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교육도우미 제도의 도입은 여성근로자의 시간적 제약을 크게 완화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교육도우미는 새로운 서비스업 일자리 창출을 의미하므로 정부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교육도우미제도의 확대를 위해서 정부는 철저한 신원 검증을 통해 고학력 인력풀을 확보하여 부모가 안심하고 교육도우미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경제활동을 중단한 고학력 여성을 교육도우미로 활용하면 일자리도 만들고 여성의 경제활동참가도 높이며 동시에 잠재성장률도 높이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


변양규 (한국경제연구원 거시정책연구실장, econbyun@keri.org)

---------------------------------------------------------------------------------------------------

1) Prescott(1999) “Some Observations on the Great Depression”, Federal Reserve Bank of Minneapolis

Quarterly Review, winter 1999, vol. 23, n.1, pp.25-31.

Hayashi & Prescott(2002), “The 1990s in Japan: A Lost Decade”, Federal Reserve Bank of Minneapolis,

working paper wp 607.


KERI 칼럼_20120530
.pdf
PDF 다운로드 • 2.18MB


46FL, FKI Tower, 24, Yeoui-daero, Yeongdeungpo-gu, Seoul, 07320, Korea

TEL: 82-2-3771-0001

​연구원 소개

연구

소통

미디어와 네트워킹

Global Brief

Copyrightⓒ 2023 KERI.ORG.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